공지 |
[신간소식] 비참함으로부터 탄생한 위대한 벽화 레 미제라블
|
남산강학원 | 4062 | | 2013-01-22 |
공지 |
[신간소식]마이클시리즈-왕양명과 전습록, 칼 융과 분석심리학, 캉유웨이의 대동서
|
태람 | 68353 | | 2012-12-21 |
공지 |
[따끈따끈 신간] 인물톡톡_경향신문
|
남산강학원 | 9203 | | 2012-09-23 |
공지 |
갑자서당 출간 - 서울신문 책소개
|
감이당 | 4901 | | 2011-11-21 |
71 |
 |
SD의 논어 한 구절 (10)
7
|
SD | 11220 | | 2012-07-02 |
SD의 논어 한 구절★
子曰 其身正 不令而行
자왈 기신정 불령이행 其身不正 雖令不從
기신부정 수령부종 공자께서 말씀하시길“자기 자신이 바르면 명령하지 않아도 행하고 자기 자신이 바르지 않으면 명령해도 따르지 ...
|
70 |
 |
SD의 논어 한 구절 (9)
1
|
SD | 2320 | | 2012-06-18 |
子曰 學如不及 猶恐失之
자왈 학여불급 유공실지
공자께서 말씀하시길 “배움은 미치지 못하는 듯이 해야 하고 또 배운 것을 잃을까 두려워해야 한다.”
-『論語』제8 태백편, 17장-
배우고도 삶이...
|
69 |
 |
SD의 논어 한 구절 (8)
2
|
三食耳 | 3072 | | 2012-06-11 |
樊遲問仁 子曰愛人 번 지 문 인 자 왈 애 인
樊遲問知 子曰知人
번 지 문 지 자 왈 지 인
번지가 어질다는 것에 대해 물었다. 공자께서 말씀하시길“사람을(남을) 아끼는 것이다.” 지혜에 대해 물었다. 공자께서 말씀...
|
68 |
 |
SD의 논어 한 구절 (7)
1
|
三食耳 | 3041 | | 2012-06-09 |
子曰 學而不思卽罔 思而不學卽殆
자왈 학이불사즉망 사이불학즉태
공자께서 말씀하셨다.
"배우고서 생각하지 않으면 잃게 되고 생각해도 배우지 않으면 위태롭다.
논어를 읽고 가장 오래 기억에 남는 간결...
|
67 |
 |
SD의 논어 한 구절 (6)
|
SD | 2337 | | 2012-05-15 |
子曰 由 誨女知之乎
자 왈 유 회 여 지 지 호
知之爲知之 不知爲不之
지 지 위 지 지 부 지 위 부 지
是知也
시 지 야
공자께서 말씀하셨다.
“유(자로)야, 너에게 안다고 하는 것을...
|
66 |
 |
SD의 논어 한 구절 (5)
1
|
SD | 3646 | | 2012-05-07 |
子曰 富而可求也
(자 왈 부 이 가 구 야)
雖執鞭之士 吾亦爲之
(수 집 편 지 사 오 역 위 지)
如不可求 從吾所好
(여 불 가 구 종 오 소 호)
공자 말씀하시기를, “부유하게 되는 것을...
|
65 |
 |
SD의 논어 한 구절 (4)
|
SD | 1995 | | 2012-04-30 |
子曰君子有三戒
자 왈 군 자 유 삼 계
少之時血氣未定戒之在色
소 지 시 혈 기 미 정 계 지 재 색
及其壯也血氣方剛戒之在鬪
급 기 장 야 혈 기 방 강 계 지 재 투
及其老也血氣旣衰戒之在得
급 기 노 야 ...
|
64 |
 |
SD의 논어 한 구절 (3)
|
SD | 1911 | | 2012-04-16 |
(3)
唐棣之華 偏其反而 豈不爾思 室是遠而
당체지화 편기반이 기불이사 실시원이
子曰 未之思也 夫何遠之有
자왈 미지유야 부하원지유
산앵두나무의 꽃이/ 나부끼며 흔들리니/ 어찌 너를 생각하지 않을까만/ 집이 이...
|
63 |
 |
SD의 논어 한 구절 (2)
1
|
SD | 3758 | | 2012-04-14 |
청지가 첫 방학을 맞이하야 집에 부랴 부랴 가는 바람에 논어 올리는 걸 깜빡했네요ㅠ
우선 지난 거 매주 올리고 따라잡으면 격주로 올리겠습니닷.
子曰 性相近也 習相遠也
자왈 성상근야 습상원야
-論語 제17양화편, 2장...
|
62 |
SD의 논어 한구절 (1)
|
SD | 2176 | | 2012-04-03 |
*-_-* 안녕하세요 에쓰 디- 입니 다-. (또박또빡 국어책 읽기 ver.)
논어 한 구절을 따다가 짧게나마 생각거리 써봅니다.
2주에 한 번 게시판에 올려요~
논어 구절 보면서 함께 생각해 볼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.
논어 정말...
|
61 |
[경향신문 청소년 인문서당] 사마천, [사기열전] : 우리는 친구 아이가!
|
최정옥 | 4099 | | 2012-02-24 |
우리는 친구 아이가! - 사마천, [사기열전]
최 정 옥(남산강학원 연구원)
내 속마음을 털어놓을 수 있는 친구 하나쯤 있었으면. 내 일거수일투족을 모두 이해해주고, 내 이야기를 아무 사심 없이 들어주고 무조건 내 편...
|
60 |
경향신문 [청소년 인문서당]불안은 자유의 가능성… 두려워 말라
|
태람 | 4152 | | 2012-02-24 |
경향신문 [청소년 인문서당]불안은 자유의 가능성… 두려워 말라
최태람(남산 강학원 연구원)
공황장애를 앓는 사람이 늘고 있다고 한다. 갑자기 극도의 공포심을 느끼며 심장 박동이 빨라지고 가슴이 답답하고 숨이 차며 땀이 ...
|
59 |
[경향신문_청소년인문서당] 21세기 절차탁마, 마네킹을 만들다
|
수경 | 3576 | | 2012-02-11 |
21세기 절차탁마, 마네킹을 만들다
방학과 졸업을 맞아 많은 이들이 이곳을 찾는다. 꿈을 주고, 자신을 사랑하게 해주며, 품격을 높여주는 병원이란다. 그곳에서 우리는 환자임을 자처하면서 의사의 사인펜이 얼굴 위를 마음껏...
|
58 |
 |
[서울신문 인물톡톡] 랭보- 지옥을 맛보고 세계를 방랑하다"
|
수경 | 3537 | | 2012-02-11 |
지옥을 맛보고 세계를 방랑하다
-아르튀르 랭보
1854년, 1891년. 랭보의 생몰연도다. 그는 19세기 중후반 37년간을 살면서 『지옥에서 보낸 한 철』과 『채색판화집』이라는 두 권의 시집을 완성했다. 수많은 상징들로 뒤덮여 ...
|
57 |
[경향신문-청소년인문서당] <서유기>, 자기 힘으로 가라.
1
|
최정옥 | 4033 | | 2012-02-11 |
[서유기](오승은), 자기 힘으로 가라.
최 정 옥(남산강학원 연구원)
남극의 펭귄은 한겨울 동안 알을 낳고, 그것을 부화시키고, 봄이 올 때까지 애지중지 키운다. 산란 이후부터 털갈이를 마칠 때까지, 새끼는 온갖 죽음의...
|
56 |
 |
[서울신문-인물톡톡]루쉰, 중국의 거대한 전통과 맞서다
|
최정옥 | 4671 | | 2012-02-11 |
루쉰, 중국의 거대한 전통과 맞서다
최 정 옥(남산강학원 연구원)
1898년, 루쉰은 난징의 강남수사학당에 들어가기 위해서 고향 샤오싱을 떠났다. 집을 떠나는 집안의 장남의 손을 잡고, 어머니는 "어쩔 수 없어 8원의 여비...
|
55 |
[경향신문 청소년 인문서당] 치장을 위한 노동, 결국엔 자기소외다
|
태람 | 3789 | | 2012-01-28 |
[경향신문 청소년 인문서당] 소외되는 노동, 소비되는 삶 - 카를 마르크스 <경제학 철학 초고>
치장을 위한 노동, 결국엔 자기소외다
최태람(남산 강학원 연구원)
대학시절에 유명 패스트푸드 점에서 아르바이트(알바)를 ...
|